페리페라툼 품종 구별법, 비슷한 다육이랑 헷갈릴 땐 이렇게 보세요
반응형
페리페라툼은 일반적으로
에케베리아 '페를레 폰 뉘른베르크(Perle von Nurnberg)'의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어요.
그래서 판매처에 따라 ‘페리페라툼’, ‘페리페라타’, ‘퍼플페라툼’ 등
이름이 조금씩 다르게 붙어 있기도 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양이 비슷한 다른 아이들과 구분하려면
잎 색, 광택, 배치, 크기감을 중심으로 보시는 게 좋아요.
페리페라툼의 기본 특징은요
- 잎 색: 은은한 연보라빛, 은색 광택 도는 녹보라 계열
- 잎 모양: 끝이 살짝 둥글고 도톰한 편
- 잎 배열: 로제트(장미 모양)로 촘촘하게 퍼져 있어요
- 빛 받으면 핑크~보랏빛으로 예쁘게 물듭니다
- 햇빛 부족하면 초록빛에 가깝게 변해요
자주 헷갈리는 다육이와 구별 포인트
1. 루비 블러쉬 vs 페리페라툼
- 루비 블러쉬는 좀 더 선홍빛이 강하고,
잎이 납작하고 넓은 느낌이에요. - 페리페라툼은 빛이 없으면 살짝 회색빛,
빛이 많으면 보랏빛~은은한 핑크가 돕니다.
2. 라울 vs 페리페라툼
- 라울은 잎이 짧고 통통한 완전 다른 느낌이에요.
- 색감이 약간 유사하게 보일 수는 있지만,
라울은 구슬 모양에 가까워요.
3. 에케베리아 ‘롤리팝’ vs 페리페라툼
- 롤리팝은 잎이 더 짧고, 색이 뽀얀 회핑크 느낌이에요.
- 페리페라툼은 그보다 보라색이 더 강하게 들어가요.
4. 그라플토세덤 ‘프란세오’ vs 페리페라툼
- 프란세오는 잎이 약간 더 길고,
자주 웃자람 생기고 아래로 퍼지는 스타일이에요. - 페리페라툼은 로제트가 비교적 촘촘하게 유지돼요.
이름 없이 유통되는 경우, 당황하지 마세요
- 시장이나 온라인몰에선 정확한 라벨 없이
그냥 ‘다육이’로 파는 경우가 많아요. - 모양, 색감, 자라는 방식으로 파악하면 되니까
너무 스트레스 안 받으셔도 괜찮아요. - 어차피 예쁘게 잘 키우면 이름보다 중요한 건 ‘내 식물’이니까요.
헷갈릴 때는 이렇게 확인해보세요
- 햇빛 잘 받았을 때 색감이 어떻게 변하는지
- 잎 끝이 뾰족한지 둥근지
- 로제트가 촘촘한지, 퍼지는지
- 잎에 광택이 도는지, 뽀얀 질감인지
사진 찍어서 다육이 커뮤니티나 SNS에 올리면
고수분들이 바로 알려주시기도 하니까,
정확한 이름이 궁금하신 분들은 그 방법도 추천드려요.
반응형
'다육이 지식 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토에베리아 종류와 특징, 어떻게 구별할까요? (0) | 2025.04.08 |
---|---|
베라 히긴스 색 예쁘게 물들이는 방법 (0) | 2025.04.08 |
리톱스 물주기, 잎갈이 때는 꼭 주의하세요 (0) | 2025.04.07 |
에온늄 계절별 관리법! 특히 여름철엔 이렇게 해주세요 (0) | 2025.04.07 |
레드에보니 키우는 법, 붉은 끝잎 유지하는 관리 팁 (0) | 2025.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