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에베리아 종류와 특징, 어떻게 구별할까요?
반응형
스토에베리아도 알고 보면 꽤 다양한 모습이 있어요.
생김새가 다 비슷비슷해 보여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결이 좀 달라요.
오늘은 키우는 재미를 더해줄 스토에베리아 품종 구별 팁 알려드릴게요.
스토에베리아는 사실 ‘속(genus)’ 이름이에요
먼저 하나 짚고 갈게요.
**스토에베리아(Stoeberia)**는 선인장처럼 하나의 품종이 아니라,
다육이 중에서도 ‘스토에베리아 속’에 속하는 여러 식물들의 이름이에요.
즉, 스토에베리아 안에도 여러 종류가 있고, 각각 모양이 조금씩 달라요.
대표적인 스토에베리아 품종들
실제로 국내에 유통되거나 해외 다육이 수입 사이트에 자주 등장하는 품종들을 몇 가지 소개드릴게요.
1. Stoeberia arborea
-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품종이에요.
- 줄기형으로 자라며, 잎이 작고 길쭉해요.
- 회록색에서 은빛이 도는 잎이 매력적이에요.
- 잘 자라면 30cm 넘게도 커요.
2. Stoeberia gigas
- ‘기가스’라는 이름처럼 크고 우람한 느낌이에요.
- 잎이 두껍고 넓은 편이라 외형이 꽤 튼튼해 보여요.
- 생장 속도가 빠른 편이고, 햇빛 아래서 붉게 물들기도 해요.
3. Stoeberia utilis
- 잎이 더 짧고 다부진 느낌이에요.
- 무리지어 자라는 성질이 있어서 군생 형태로 키우기 좋아요.
- 드물지만, 꽃도 피우는 편이에요. 보라빛 또는 흰빛의 작은 꽃이 피어요.
외형으로 구별하는 방법
스토에베리아는 전체적으로 선형 또는 타원형 잎을 가지고 있지만,
크기, 두께, 색감, 줄기 형태에서 차이가 나요.
간단한 구별 포인트
- 잎 길이: arborea는 가늘고 긴 편, gigas는 짧고 굵어요.
- 잎 색깔: 햇빛을 받았을 때 색 변화를 잘 보면 품종이 구분돼요. gigas는 붉게 변색되기도 해요.
- 줄기 구조: 어떤 품종은 직립형, 어떤 건 기어가는 듯 퍼지는 형이에요.
국내에서는 아직 정확한 분류가 어려운 경우도 많아요
스토에베리아는 수입되는 양도 적고, 판매처에 따라 이름이 섞이는 경우도 있어요.
그래서 정확히 어떤 품종인지 명확하게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아요.
하지만 이런 특징을 알고 보면, 키우면서 자연스럽게 감이 오실 거예요.
구별이 어렵다면?
- 판매처에 사진을 보여주고 물어보는 것도 방법이에요.
- 영어 이름으로 검색하면 해외 다육 커뮤니티나 사이트에서 비교 사진을 볼 수 있어요.
- **‘Stoeberia + 품종명’**으로 구글 이미지 검색해보면 훨씬 정확해요.
정리하자면
- 스토에베리아는 한 품종이 아니라 여러 종류가 있어요.
- arborea, gigas, utilis 등이 대표적이에요.
- 잎 크기, 두께, 색감, 줄기 구조 등으로 구별 가능해요.
- 정확한 구분은 어렵지만 키우다 보면 감이 생겨요.
스토에베리아는 키우면서 관찰하는 재미가 큰 식물이에요.
이름이 헷갈릴 수도 있지만, 외형을 비교해가면서 자라는 모습을 지켜보면 자연스럽게 품종 감별이 가능해지더라고요.
처음엔 헷갈려도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반응형
'다육이 지식 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토에베리아, 다른 다육이랑 뭐가 다를까? 조화롭게 키우는 팁까지! (0) | 2025.04.08 |
---|---|
스토에베리아 잎이 말라요? 물러져요? 원인과 대처법 정리! (0) | 2025.04.08 |
베라 히긴스 색 예쁘게 물들이는 방법 (0) | 2025.04.08 |
페리페라툼 품종 구별법, 비슷한 다육이랑 헷갈릴 땐 이렇게 보세요 (0) | 2025.04.07 |
리톱스 물주기, 잎갈이 때는 꼭 주의하세요 (0) | 2025.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