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란드레아 종류와 구별법, 헷갈릴 땐 이렇게 보세요
반응형
돌란드레아는 다른 선인장이랑 비슷하게 생긴 경우가 많아요.
특히 마밀라리아나 튀름에 가까운 구형 선인장들이랑 헷갈리기 쉬운데요.
실제로 판매처에서도 이름이 잘못 표기되는 경우가 은근히 많아요.
오늘은 돌란드레아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자주 헷갈리는 종류랑 어떻게 다르게 생겼는지 정리해볼게요.
돌란드레아는 이런 생김새예요
1. 몸통은 작고 구형에 가까워요
- 딱 봐도 작고 둥글고 단단한 느낌이에요.
- 크기가 커지기보단 뭉글하게 유지되는 경우가 많고요.
2. 가시는 짧고 깔끔하게 배열돼 있어요
- 너무 날카롭지도 않고, 방사형으로 규칙적으로 나 있어요.
- 가시 사이가 조밀해서 마치 패턴처럼 보이기도 해요.
3. 꽃은 몸통 꼭대기에서, 크고 화려하게 피어요
- 보통 봄~초여름에 피고, 다른 선인장보다 꽃이 큰 편이에요.
- 진한 분홍이나 노란빛을 띠는 경우가 많아요.
자주 헷갈리는 선인장이랑 비교해볼게요
1. 마밀라리아와의 차이점
- 마밀라리아는 가시가 더 길거나 솜털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아요.
- 자구가 잘 달리고, 전체적으로 '복슬복슬'한 느낌이 있어요.
- 반면 돌란드레아는 자구가 거의 안 생기고, 좀 더 매끈하고 단단해 보여요.
2. 튀름(터부크, 튜름)과의 차이점
- 튀름은 종종 입체적으로 튀어나온 능선이 있는 경우가 많고,
돌란드레아보다 몸집이 크고 단단해 보여요. - 반면 돌란드레아는 곡선형 몸통에 가시 배열이 더 정돈돼 있습니다.
3. 에키노케레우스와의 차이점
- 에키노케레우스는 가시가 더 뾰족하고 공격적인 스타일이에요.
- 꽃도 크지만 보통 몸통이 길쭉한 경우가 많아요.
- 돌란드레아는 훨씬 둥글고 가시도 더 얌전해요.
참고로 돌란드레아 종류는 많진 않지만 이런 게 있어요
- Dolichothele sphaerica: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타입이에요.
- Dolichothele longimamma: 가시가 조금 더 길고 드물게 보이긴 해요.
- 최근엔 Mammillaria 속으로 분류되기도 해서, 헷갈릴 수 있어요.
이름은 바뀌어도 생김새는 같으니까 너무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반응형
'다육이 지식 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플딜라이트 키우는 법, 보랏빛 예쁘게 유지하는 방법 (0) | 2025.04.25 |
---|---|
돌란드레아 번식 어렵지 않게 정리해드릴게요 (0) | 2025.04.25 |
세덤 웃자람 방지법, 동글동글하게 키우는 비결 (0) | 2025.04.22 |
돌란드레아 꽃 피우는 법, 제대로 알려드릴게요 (0) | 2025.04.22 |
파키포디움 겨울 관리법, 잎 떨어져도 당황하지 마세요 (0) | 2025.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