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톱스 탈피 과정과 관리법, 이렇게 하세요

지식LOG 2025. 4. 10.
반응형

리톱스 키우다 보면 어느 날 갑자기
몸이 갈라지듯 벌어지고 속에서 뭔가 나오는 걸 보게 돼요.
이게 바로 리톱스의 ‘탈피’ 과정이에요.

다른 식물처럼 잎이 떨어지는 게 아니라,
겉껍질을 벗고 그 안에서 새 리톱스가 자라는 방식이라
모양도 신기하고, 관리도 좀 특별합니다.

오늘은 리톱스 탈피가 언제 시작되는지,
어떻게 진행되는지, 그리고 이 시기에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꼭 알아야 할 핵심만 정리해드릴게요.


1. 탈피란 뭐예요?

리톱스는 1년에 한 번, 보통 겨울~봄 사이에
겉잎을 말리고 그 안에서 새잎이 올라오는 과정을 겪어요.
이게 바로 '탈피'예요.

  • 새잎은 겉잎의 수분을 흡수하면서 자라기 때문에,
    탈피 중엔 물을 주지 않는 게 원칙이에요.
  • 보통 한 개의 몸체에서 두 갈래로 갈라진 형태로 새 리톱스가 나와요.

2. 탈피 시기는 언제부터?

  • 시작 시기: 보통 1~3월 사이
  • 진행 기간: 식물 상태와 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2개월 정도 천천히 진행

※ 너무 빠르게 진행되거나, 너무 오래 멈춰 있는 경우엔
환경 조절이 필요할 수 있어요.


3. 탈피 중 리톱스의 모습은?

  • 처음엔 몸이 가로로 갈라지기 시작하고,
  • 그 틈 사이로 작고 단단한 새잎이 올라옵니다
  • 시간이 지날수록 겉잎은 점점 쭈글쭈글 마르고
    완전히 말라야 새잎이 제 모습을 갖춰요

※ 겉잎이 미처 마르기도 전에 물을 주면
겉잎이 계속 살아 있으면서 탈피가 멈추고,
이중 구조가 되어 썩는 경우도 생겨요


4. 탈피 중 물 주면 안 되는 이유

  • 새잎이 자랄 때 겉잎의 수분을 빨아들이는 게 자연스러운 과정이에요
  • 물을 주면 겉잎이 계속 살아있어서
    새잎이 나올 공간이 부족해지고
    → 탈피가 느려지거나 중간에 멈춰버릴 수 있어요

겉잎이 거의 다 말라서 종이처럼 쪼글쪼글해졌을 때
한 번만 소량 물 주세요, 그게 끝이에요


5. 탈피 중 관리 요령

  • 햇빛:
    → 너무 강한 직사광선은 피하고,
    밝은 간접광이 드는 자리에 두세요
  • 온도:
    → 실내 15~25도 정도 유지가 가장 좋아요
  • 통풍:
    → 공기 순환 잘 되게 해주면 곰팡이 예방에도 좋아요
  • 손대지 않기:
    → 겉잎이 지저분해 보여도 절대 억지로 떼지 마세요
    (자연스럽게 마르고 떨어지게 두는 게 가장 안전)

한 줄 정리

리톱스 탈피는 1년에 한 번, 겉잎을 말리며 새잎이 나오는 과정이에요.
이 시기엔 물을 주지 말고, 손대지도 말고, 조용히 기다려주는 게 최고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