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야자 잎이 마를 때? 갈색으로 변하는 이유와 대처법
반응형
테이블야자 키우다 보면 잎 끝이 마르거나 갈색으로 변할 때가 있어요.
처음엔 당황스럽지만, 대부분 원인만 잘 파악하면 금방 회복 가능하답니다.
잎이 마르는 데는 이유가 있어요.
하나하나 짚어볼게요. 그리고 어떻게 관리하면 좋은지도 같이 알려드릴게요.
1. 물을 너무 자주 주거나, 너무 안 주었을 때
- 잎 끝이 갈색으로 변하고 바삭해지면 과습 또는 건조가 원인이에요.
- 겉흙이 마른 걸 확인하고 주시는 게 좋아요.
- 손으로 흙을 살짝 눌러봤을 때 축축하면 며칠 더 기다리셔야 해요.
- 화분 밑에 물 고여 있는지 꼭 확인하세요.
2. 공기가 너무 건조할 때
- 겨울철 난방하거나 여름에 에어컨 틀면 습도가 낮아지죠.
- 그럴 때 잎이 마르면서 끝이 마르고, 점점 전체가 갈색이 될 수 있어요.
- 하루 한두 번 정도 잎에 분무해주면 확실히 좋아져요.
- 옆에 가습기 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3. 햇빛이 너무 강하거나 너무 없을 때
- 테이블야자는 직사광선에 약해요.
- 강한 햇빛에 잎이 타듯이 갈색이 되기도 해요.
- 반대로 너무 어두우면 노랗게 시들면서 마르기도 하죠.
- 커튼 너머로 햇빛 드는 밝은 곳, 여기가 가장 좋아요.
4. 영양분이 부족할 때
- 오래된 잎이 아니라 새잎이 계속 노랗거나 갈색으로 변하면,
흙에 영양이 부족한 상태일 수 있어요. - 1~2개월에 한 번 정도 액체 비료를 아주 묽게 타서 주세요.
- 비료는 ‘과하지 않게’ 주는 게 포인트예요.
5.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일 수도 있어요
- 아래쪽 잎이 마르거나 갈색으로 되는 건
단순히 잎이 오래돼서 그런 것일 수도 있어요. - 그럴 땐 마른 잎만 가위로 잘라서 정리해주면 됩니다.
- 잎자루는 안 자르고, 잎끝만 잘라주는 게 좋아요.
테이블야자 잎이 마른다고 해서 식물이 금방 죽지는 않아요.
다만 상태를 자꾸 방치하면 스트레스를 받아 전체적으로 건강이 나빠질 수 있으니
초기에 원인 파악하고, 하나씩 점검해보시는 게 가장 중요해요.
환경 조금만 조정해주면, 다시 싱그러운 초록빛 잎으로 돌아오는 모습 보실 수 있을 거예요.
반응형
'애완용 식물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키라 가지치기, 키 크는 거 막고 풍성하게 키우는 법 (0) | 2025.04.10 |
---|---|
물 주기부터 햇빛까지, 안스리움 키우는 기본 관리법 (0) | 2025.04.10 |
드라세나 콤팩타, 빛 없는 실내에서 잘 키우는 방법 (1) | 2025.04.09 |
벤자민고무나무 키우는 법, 이렇게만 해보세요 (0) | 2025.04.09 |
피쿠스 알티시마 가지치기와 잎 풍성하게 키우는 팁 (0) | 2025.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