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도루스 구별법, 비슷한 다육이랑 헷갈릴 땐 이렇게 보세요

지식LOG 2025. 4. 14.
반응형

세도루스는 사실 이름 자체가 정식 식물명이라기보다,
**세덤(Sedum)과 에케베리아(Echeveria)의 교배종인 '세도베리아(Sedeveria)'**를
다르게 부르는 이름이에요.

그래서 유통명도 제각각이고, 같은 식물인데도
판매처에 따라 ‘세도루스’, ‘세도베리아’, ‘세도베라툼’ 등 다양하게 불려요.


세도루스 기본 생김새는 이래요

  • 잎 모양: 통통하고 끝이 둥글며 로제트 모양
  • 잎 색감: 연한 초록 ~ 분홍빛 또는 붉은빛 물듦
  • 전체 느낌: 단정하면서도 약간 퍼지는 느낌,
    에케베리아처럼 단단하게 모이진 않음
  • 햇빛 받으면 잎 끝에 색이 붉게 물들어요

자주 헷갈리는 다육이들과 구별 포인트

1. 에케베리아 vs 세도루스

  • 에케베리아는 잎이 단단하고 전체적으로 로제트가 촘촘하게 뭉쳐져 있어요
  • 세도루스는 살짝 퍼지는 느낌이 있고, 잎도 좀 더 말랑한 질감이에요
  • 색감도 에케베리아가 더 뽀얗거나 탁한 편이에요

2. 세덤 vs 세도루스

  • 세덤은 작고 다글다글 자라는 타입이 많아요
  • 줄기를 따라 늘어지듯 퍼지거나 덩어리처럼 자라기도 해요
  • 반면 세도루스는 로제트 형태가 확실하고, 덩굴성은 아니에요

3. 그라플토세덤 vs 세도루스

  • 그라플토세덤은 잎이 길고, 가끔 물결처럼 휘기도 해요
  • 잎 배열이 느슨하고, 웃자람이 심하면 형태가 무너지기 쉬워요
  • 세도루스는 좀 더 짧고 통통하며, 웃자람에도 로제트 틀은 유지돼요

4. 파키피툼 vs 세도루스

  • 파키피툼은 잎이 훨씬 더 두껍고 묵직한 느낌이에요
  • 전체적으로 물방울처럼 통통해서, 세도루스보다 훨씬 육중해 보여요
  • 세도루스는 그보단 살짝 얇고, 더 단정한 인상이에요

이름 없이 유통되는 경우? 너무 걱정 안 하셔도 돼요

  • 시장이나 온라인몰에서 라벨 없이 파는 경우 정말 많아요
  • “정확한 이름은 모르겠지만 잘 자라면 그게 최고죠” 하는 분들도 많고요
  • 단, 번식을 원하시거나 여러 종을 모으고 싶다면
    최소한 교배종인지, 품종 라인은 알아두는 게 좋아요

구별 팁 정리하면요

  • 잎이 둥글고 통통하며, 로제트 형태인데 조금 퍼진 느낌이다
  • 색이 연초록~붉은빛으로 물들고, 잎 끝이 물들 때 더 예뻐진다
  • 이름은 다 다르게 불릴 수 있지만, 생김새로 파악하시면 거의 맞아요

세도루스는 이름보다 생김새와 성격이 더 중요한 식물이에요.
환경 따라 색도 달라지고, 자라는 방식도 달라지니까
정확한 학명 몰라도 건강하게만 키우면 충분히 예쁜 모습 보여줘요.

반응형

댓글